장자(莊子) / 남화경(南華經)
소요유(逍遙遊)
북쪽 바다에 물고기가 있어 그 이름을 곤(棍)이라고 하는데 그 크기가 몇 천리나 되는지 알지 못한다. 그것이 변화해서 새가 되니 이름을 붕(鵬)이라 하며, 이 붕의 등 넓이도 몇 천리나 되는지 알지 못 한다. 이 새가 한번 기운을 내어 날면 그 날개는 마치 하늘에 드리운 구름과 같다. 이 새는 바다 기운이 움직일 때 남쪽 바다로 옮겨가려고 하는데 , 남쪽 바다란 천지(天地)(천연적인 연못)를 말한다.
'제해'(사람의 이름이라고도 하고, 또는 책이름이라고도 함. 제해(齊諧)란 말은 세계가 하나로 조화한다는 뜻.)란 기괴함을 적은 것으로 거기에 이런 말이 있다. "붕새가 남쪽 바다로 옮겨갈 때에는 물결을 치는 것이 3천리요, 회오리바람을 타고 9만리나 올라가 6개월을 가서야 쉰다." 하였다.
아지랑이와 티끌은 생물들이 불어내는 입김이다. 하늘이 저렇게 푸른 것은 저 하늘의 본래의 빛인가? 너무 멀어서 끝이 없는 까닭인가? 저 위에서 이 지상을 굽어보아도 또한 이러할 뿐이다.
대체로 물이 고인 곳이 깊지 못하면 큰 배를 띄울 힘이 없다. 한 잔의 물을 뜰의 패인 곳에 부으면, 하나의 지푸라기는 배마냥 뜨지만, 술잔을 띄우면 가라앉는다. 물은 얕고 배는 크기 때문이다.
바람이 쌓인 것이 두텁지 않으면 저 붕새의 큰 날개를 날리기에는 무력할 것이다. 그러므로 9만리쯤이나 올라가야 바람이 그 밑에 있게 되고, 그런 뒤에야 바람을 타고 푸른 하늘을 날아가는데, 가로막는 것이 없어야 곧 남쪽으로 갈 수 있는 것이다.
매미와 메까치는 이를 비웃는다. "우리는 훌쩍 솟아 올라 느릅나무나 박달나무가 있는 곳까지 가려 해도 때로는 이르지 못하고 땅바닥에 떨어지고 마는데, 어째서 9만리나 올라가서 남쪽으로 가려 하는가?"
가까운 들판으로 가는 자는 세 끼만 먹고 돌아와도 배가 여전하지만, 백리를 가는 사람은 전날 밤부터 양식을 준비해야 하고, 천리를 가는 자는 3개월 동안의 양식을 준비해야 하는 법이니, 이 두 마리 벌레들이 또한 무엇을 알겠는가?
작은 지혜는 큰 지혜에 미치지 못하고, 단명하는 이는 장수하는 이에 미치지 못한다. 어째서 그런 줄을 아는가?
아침나절에만 사는 버섯은 그믐과 초승을 알지 못하고, 쓰르라미는 봄과 가을을 알지 못하니 수명이 짧기 때문이다.
초나라 남쪽에 명령( 나무의 이름이라고도 하고, 바다거북의 이름이라고도 함.)이라는 것이 있는데, 5백년을 봄으로 삼고 5백년을 가을로 삼았다. 또 태고 적에 큰 참죽나무(참죽(大椿)나무라고도 하는데 일설에는 무궁화나무라고도 함.)가 있었는데 8천년을 봄으로 삼고 8천년을 가을로 삼았다. 그런데 팽조(烹調)(요(堯)임금의 신하인데 8백년을 살았다 함)가 지금에 와서 오래 산 것으로 소문이 났으니 또한 슬프지 아니한가?
탕왕이 극(極)(탕왕(湯王)의 신하 이름)에게 물은 것도 이와 같은 것이다. 궁발(窮髮)(초목도 자라지 않는 북극지방의 불모지)의 북쪽에 명해(明解)가 있는데 천지다. 거기에 물고기가 있는데 그 넓이가 수 천리나 되고 그 길이는 아는 자가 없다. 그 이름은 곤(棍)이라 한다. 또 거기에는 한 마리의 새가 있는데 그 이름을 붕(鵬)이라 한다. 등은 태산과 같고 날개는 하늘에 드리운 구름과 같은데 회오리바람을 타고 9만리를 돋아 올라 고름을 벗어나고 청천을 등에 진 연후에야 남쪽을 도모하여 남쪽 바다로 간다. 종달새가 이를 비웃어 이렇게 말한다.
"저들은 바야흐로 어디로 가는 것일까? 우리는 뛰어올라 두어 길도 못 가서 도로 내려와 쑥대밭 속에서 펄떡거리는데. 그리고 이런 정도도 최고의 비행인데, 저들은 대체 어디로 가는 것일까?"
이는 작은 것과 큰 것의 구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대체로 지혜가 겨우 한 관직이나 담당할 만하고 행동이 그 고을 사람에게만 칭찬받을 정도이며, 덕은 그 나라 한 임금의 비위에나 맞는 정도라서, 한나라의 신하로 임명된 자가 스스로 뽐내는 것은 이 종달새와 같은 것이다.
그러나 송영자(宋榮子 전국시대 송(宋)나라 사람 송경(宋徑)을 말함. 송견(宋?)이라고도 함. 그는 무저항주의. 반전(反戰)주의 사상가)는 오히려 이들을 비웃는다. 그는 온 세상이 그를 칭찬해도 으스대는 법이 없고 온 세상이 그를 비난해도 그만두지 않으니, 안팎의 분수가 정해져 있고 영예와 굴욕의 경계가 구분되면 그만일 뿐이다. 그런 사람은 세상에 아직 흔치 않다. 비록 그렇다 해도 아직 지극한 덕을 세웠다고 할 수는 없다.
대저 열자(列子전국시대 초기의 철학자, 이름은 어구(禦寇). 도가(道家)에 속함)는 바람을 타고 돌아다니며 시원하게 잘 지내다가 보름만 에야 돌아온다. 그래서 그는 복을 받는 사람 중에서 아직도 그리 흔한 사람은 아니다. 그러나 이는 비록 걸어다니는 것은 면했다 하더라도, 오히려 의지해야 할 바람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저 천지의 바름 기운을 타고 육기(六氣천지춘하추동(天地春夏秋冬)의 여섯 기운. 또는 음양(陰陽), 풍우(風雨), 회명(晦明)의 여섯 기운을 말함. 곧 천지 자연의 대 기운)의 변화를 몰아서 무궁에 노니는 자는 그가 다시 무엇을 의지할 필요가 있겠는가?
그러므로 "지인(至人)은 물아(物我)의 구별이 없고, 신인(神人)은 공을 의식하지 않으며, 성인은 명예를 무시한다"는 것이다.
추수(秋水)
혜자(惠子)가 양(梁)나라의 재상으로 있을 때 장자는 그를 찾아가 만나고자 했다. 그때 어느 사람이 혜자에게 말하기를,
"장자가 와서 당신 대신 재상이 되려 한다"라고 했다. 이에 혜자는 두려워하여 전국에 3일 동안 밤낮으로 장자를 찾아내도록 했다. 그러자 장자가 혜자를 찾아가서 만나보고 하는 말이,
"남쪽에 새가 있는데 그 이름을 원추(호를 성 둘레의 호수로 보기도 함. 따라서 양을 난간으로 보기도 함)라고 하오. 당신은 그 새를 아오? 그 원추는 남쪽 바다에서 출발하여 북쪽 바다로 날아가는데, 오동나무가 아니면 쉬지 않고 대나무의 열매가 아니면 먹지 않으며 단물이 나오는 샘이 아니면 마시지도 않소. 때마침 소리개가 썩은 쥐를 얻어가지고 있는데 원추가 그 위를 날아갔소. 그랬더니 소리개는 썩은 쥐를 빼앗길까봐 "꿱"하고 소리를 질렀소. 그와 마찬가지로 지금 당신은 당신의 양나라 재상 때문에 나를 겁내게 하는 것이지요"라고 했다.
장자가 혜자와 함께 호수(濠水)에 있는 다리 위에서 놀고 있었다. 이때 장자가 말하기를,
"피라미가 나와 조용히 노네.. 이것이야말로 저 고기의 즐거움이네"하자, 헤자가 말하기를,
"자네가 물고기도 아닌데 어떻게 물고기의 즐거움을 아는가"하였다. 이에 장자는 다시 말하기를,
"그렇다면 자네는 내가 아닌데, 어떻게 내가 물고기의 즐거움을 모르는 것으로 아는가"하자, 혜자가 말하기를,
"본디 나는 자네를 모르네, 마찬가지로 자네도 본디 물고기가 아니네. 그러니 자네가 물고기의 즐거움을 모르는 것은 확실하네" 하였다. 이에 장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그러면 그 근본으로 올라가 보세. 자네가 내게 '자네가 어찌 물고기의 즐거움을 알겠는가'라고 말한 것은 이미 내가 그것을 안다고 여겨 물은 것이네. 나는 지금 이 호수의 다리 위에서 저 호수 밑의 물고기와 일체가 되어 마음속으로 통해서 그 즐거움을 알고 있는 것이 되네."